Art in Culture 2002년 11월

Art in Culture 2002년 11월
ART in Culture 2002년 11월호-Young Artist
재료와 정신,창조적인 연금술-이은주(미술사)

 

박현주의 작품을 보면 일종의 숭고함(Sublime)이 느껴진다. 그녀의 작업을 처음 보았을 때 나는 바넷 뉴만의 그림에서 느꼈던 초월적인 깊이와 종교성, 그리고 조금은 압도적인 아우라의 인상을 받았었다. 그녀의 작업에 붙여진 ‘Inner Light’ 라는 제목이 정신적인 빛, 내면의 빛,자아를 초월한 실체의 빛을 의미한다고 하니 내가 느낀 이러한 감정이 전혀 근거 없지는 않았나 보다. 박현주의 작품이 보여주는 외형적 결과는 스텔라의 오브제성, 저드의 즉물적인 일류젼을 연상시키기도 한다. 이처럼 그녀의 작업은 미술사를 조금이라도 아는 이로 하여금 그 의미와 목적을 현대 미술사의 흐름 어딘인가에 위치시켜 설명하고 싶은 유혹을 주곤 한다. 아니. 어쩌면 그것은 유혹이 아니라 매우 합당한 동기인지도 모르겠다. 박현주는 스스로 “회화에서 출발해서 회화에서 끝나고 싶다”고 말하고 있으며, 서양화의 역사가 시작된 지점이라 할 수 있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성상화 연구를 통해 전통을 잇는 새로운 회화를 모색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대적인 성상화

박현주의 작업에서 가장 흥미로운 점은 재료기법연구에서부터 작품이 창조된다는 것이다. 박현주는 동경예술대학 재료기법연구실에서 프라 안젤리코의 성모자상을 모사하던 중 이 작품의 리얼리티가 자신의 현실과 연결됨을 느꼈다고 한다. 프라 안젤리코는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화가이자 도미니크회에 속해있던 수도자였다. 그의 단순하고 정교한 성모자상을 보면 이 주제에 대해 안젤리코가 가진 탈속적인 진지함과 겸손함이 느껴진다. 각자의 한계속에서 최선을 다하여 걸어가야 하는 개인의 숙명, 그러한 자아의 경계를 초월하는 더 큰 실체의 존재, 박현주는 성상화를 현대적인 조형언어로 해석함으로써 삶이 안고 있는 이러한 이원적인 관계를 보여주고자 한다. 그녀의 작업 태도는 마치 프라 안젤리코가 신에 대한 깊은 신뢰를 표현하기 위해 정교하게 금박을 붙이고 템패라로 그려갔던 과정과 마찬가지로, 목적지를 알 수 없지만 길고 지루한 과정을 수용함으로써 커다한 실체로 나아가고자 하는 그녀 자신의 삶의 태도를 표현하고 있다.

-물질의 비물질화

박현주의 작업은 사각형 오브제의 형태와 금빛의 일류젼으로 인하여 언 듯 미니멀리즘의 맥락으로 읽혀지기도 하지만, 실상 그 작업 과정은 중세의 화가처럼 거의 모든 공정이 작가의 손에 의해 직접 이루어진다. 완성 되기 까지의 세밀한 공정을 이해하고 바라보니 박현주의 작품이 발산하는 아우라는 결국 물질과 시간, 노동을 통한 정신과의 만남이라는 생각이 든다. 즉물적인 물성이 아니라, 마치 중세의 연금술처럼 작가의 부단한 노력과 집중이 만들어내는 물질과 정신의 접점이랄까. 작품의 측면에서부터 방사되어 전시장 벽면을 금색으로 물들이는 빛은 이와 같은 연금술적 과정에 의해 비물질의 영역으로 순화된 영적 세계를 말한다. 거기에는 마치 성상화의 광배와도 같이 가볍지 않은, 엄숙한 광휘가 있다.

재료의 성질을 이해하는 것은 박현주의 작업에서 매우 핵심적인 부분이다. 달걀을 바인더로 쓰는 템패라 물감은 재료의 특성상 빨리 건조해 지므로 얇은 층을 계속해서 덧칠해야 한다. 박현주의 작품 전면에 나타나는 얇고 규칙적인 라인들은 1센티 두께의 평붓으로 반복해서 칠하는 과정에서 층과 층 사이가 겹치면서 생겨난 자연적인 선이다. 그녀의 작품에는 각각의 색채마다 밀도가 다른 미묘한 마티에르가 살아있는데, 이것은 천연 안료가 가지고 있는 본연의 성격에 순응한 결과이다. 이를테면, 흰색 안료는 그 자체로 매우 점성이 있고 울트라 마린은 입자가 매우 거칠며 흙에서 추출한 토성 안료는 곱고 발색이 자연스럽다. 이러한 재료의 개성은 완성된 작품에도 그대로 반영되어 흰색 그림은 마티에르가 두텁고 토성안료로 그려진 그림의 색감은 부드럽고 따뜻하다. 박현주가 재료의 특성들을 더 깊이 이해하고자 하는 것은 결국 재료 자체가 말하는 것에 순종하기 위해서이다.

-반복과 빛의 확장

박현주의 작품에서 또 한가지 흥미로운 것은 하나의 작품이 개별적인 유니트가 되어 마치 일종의 구조적인 패턴처럼 벽면위에 반복적으로 배열된다는 점이다. 이와 같은 배치는 단일한 형상에 집중시키는 성상화의 구조와는 다른 형식이다. 하나의 작품이 곧 작업에 몰두했던 한 토막의 시간적 과정을 형상화 한 것이라면 여러개의 작품들의 측면과 더불어 서로 반사되면서 단일한 유니트에서는 볼 수 없었던 강하고 생생한 빛의 확장이 이루어진다. 성상화의 빛이 현실 공간속에서 현장감을 가지면서 재생됨으로써 빛의 재현이 아니라 빛의 현상 자체로 변용되고 있는 것이다. 박현주의 작업은 자연적인 회화의 과정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여 전통적인 기법으로 그려지고 있다는 점에서 가장 회화적인 작가라고 할 수 있지만, 동시에 마치 설치 미술과도 같은 현장감을 통해 관람자로 하여금 빛의 시각적인 체험을 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기존의 회화의 범주를 넘어서고 있다.

박현주의 작업 과정을 보면서 대상에 대해 상상력이 생기지 않는 것은 그것의 실체를 모르고 있기 때문은 아닐까하는 생각을 해보았다. 회화라는 형식 속에서 더 이상 새로움을 찾기 어렵다고 이야기 하지만, 정말 그 리얼리티를 알고 있다면 아주 제한된 형식 안에서 무한한 새로움을 볼 수 있지 않을까? 그린다는 것 자체가 무의미하게 느껴질 만큼 아이디어와 감각을 앞세운 설치와 미디어 작업들이 다양하게 쏟아지는 흐름 속에서 전통의 수용을 통해 새로움을 찾는 그녀의 존재가 완강하고도 특별하게 느껴진다. 박현주의 지도교수인 사토 이찌로가 표현한대로 “온고지신(溫故知新)”의 범주 속에서 무궁한 회화의 이야기를 풀어낼 그녀의 행보에 기대를 걸어본다.

 

Review/Young Artist – “Art in Culture” Nov. 2002
Materials and Spirit/Creative Alchemy

 

Eunjoo Lee (Art History,Critic)

 

A kind of sublime is sensed at Hyun Joo Park’s artworks. At first sight of her works I felt transcendent depth, religiousness, some aura from which I did in Barnet Newman’s works.  Considering that “Inner Light”, the title of her works, means spiritual light, inner light, and light transcending the self, such a feeling doesn’t seems so groundless. The appearance of her works reminds me of Stella’s objets and Judd’s presentational illusion. At her works people who know even a bit of art history would tempt to explain the meanings and purposes in the flow of modern art history. Perhaps, this might be a reasonable motivation, not a temptation because Park says she wants to begin with paintings and end with paintings and she gropes for a new paintings that inherits the tradition through the study of “icons” in the Renaissance age, the origin of history of western art.

-Modern Icon

What the most unique in Hyun Joo Park’s works is that her works are created from the phase of researching materials and techniques. While copying Fra Angelico’s “Madonna and Child” in the Research Institute of Material and Technique of Tokyo National University of Fine Arts and Music, she recalls she felt the “reality” of this work connected to her own. Fra Angelico was an artist in Renaissance age and friar in the Dominican order. Looking at his simple and elaborate “Madonna and Child”, his unworldly seriousness and modesty on the theme is sensed. Each one’s individual fate has to move on trying the best within his or her limitation and there exists a bigger entity transcending the boundary of the self. Through interpreting icons into modern formative language, Hyun Joo Park tries to show the dual relationship of life. Just as Fra Angelico elaborately gilded and painted with tempera to express his pious trust in God, she expresses her attitude toward life to accost closer to the big entity by accepting the long and monotonous procedure without knowing the destination.

-The Immaterializing of Materials

Park’s works seemingly are interpreted in the context of minimalism due to the square figure of objets and golden illusion, but in fact the whole process of the works is completed by the artist’s own hands like a medieval artist. Upon understanding the precise process to the completion, the aura that her works are giving out seems a spiritual rendezvous through material, time, and labor. Not a presentational property of matter, but a contact point of materials and spirits yielded from the artist’s relentless efforts and concentration just like the alchemy in the Middle Age. The light that is projected from the side face of the artwork and the wall of exhibition room means a spiritual world purified into immaterial sphere by such a hermetic process. There emits such solemn, not frivolous, dazzling rays as a halo in an icon.

Understanding properties of the materials is a core job in her works. Since tempera, using eggs as binder, characteristically dries itself quickly, it should be recoated in thin layers. The thin and regular lines appearing in her works are natural ones created between layers in the process of painting repetitively with a 1cm thick brush. A subtle matiere of different densities of every color is alive and this is the result of pliancy to the original characteristics of natural dyes. White color has viscosity. Particles of ultra marine are coarse. Earthy colors are fine and the chromogen is natural. These properties are reflected on her works. The matiere of paintings in white is heavy, and the paintings in earthy colors are soft and warm. In order to accede to what materials express ultimately, Hyun Joo Park tries to understand properties of materials in depth.

-Repetition and Expansion of Light

Another interesting draw in Hyun Joo Park’s works is that each work, an individual unit, arranged repetitively on the wall like a kind of structural pattern. This arrangement is different     from the structure of icons which is concentrated in single figure. A work exhibits a block of time process of concentration on the work, and this arrangement shows a context of the whole time without split. The golden gleam of a side face of a work reflects together with other golden gleam given out from adjacent works, up and down, or right and left, and this creates extension of stronger and more vivid light that was not witnessed in single unit. As the light of the icons is reproduced with realism in a real space, the light is not revived, but is transformed to a phenomenon of light itself. Hyun Joo Park can be identified as the painting artist in that she paints with a traditional method through accepting the natural process of paintings as it is. In the meantime, she gets over the category of established paintings since she presents viewers visual experience of light through the realism as in installation art. Her work process induces me to assume that if someone has no tickling of imagination on an object, he or she doesn’t know its entity at all. They say it is hard to find a new form in paintings, but if they know the true reality, they can discover indefinite novelties within a very limited form. In the flow of the pouring of a variety of installation and media works focused on ideas and sensation as if paintings itself seems meaningless, the existence of her, searching for novelty through accepting traditions, is felt as persistent and unique. As Ichiro Sato, her academic adviser, expressed her works as “taking a leaf out of a wise man’s book,” I am already anticipating her future track where she will unpack endless stories of paintings just like the proverb.