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ght and Square, TAISUNG KANG

빛과 사각

강태성 (조형예술학 박사, 미술비평) TAISUNG KANG
 
I.
박현주는 흰 공간 속에 큐빅 모양을 반복시켜, 빛과 형태의 리듬감을 그려내면서도 색이 가득한 사각면을 은은하게 반사시킴으로써, ‘빛과 색의 놀이’를 보여준다. 그의 금빛은 그다지 강하지 않아, 직설적이거나 지나치게 자기를 드러내지 않는 편안함을 자아내고, 사각을 평면 공간 속에 굴절시키는 그림자를 보여준다. 이 빛과 그림자의 중복으로 인한 복합성 때문에 사각이 움직이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마치 움직이고 있는 시간의 한 단면을 보여주는 것과 같다. 이러한 단면 속의 빛과 색의 조합은 공간과의 관계에서, 서로 겹쳐지기도 하고, 상쇄 되기도 하여, 더 많은 이중적인 관계를 만들어 낸다. 이 복잡성과 뉘앙스 때문에, 그의 작품은 미니멀적 «비은유 »가 아니라, 상징으로서의 새로운 의미구조로 해석된다.
은유와 상징적인 구조는 작가가 정성스럽게 제작하는 금박 작업이 갖는 정교한 기술에서도 발견된다. 이 장인적인 기술 덕에, 작품의 금물결이나 주름과 같은 허상으로서의 형상성은 형이상학적인 상상을 가능하게 한다. 특히, 이 금은  사각위의 색면들과 함께, 덩어리로 제시되면서도, 자기 반사를 이용하여, 비잔틴미술이나 서유럽 그리고 불교의 금색을 사용한 종교화의 상징성이나 도상적인 의미와 연관된다. 그것은 밝게 비추는 빛이면서도 형이상학적인 계시(Illumination)의 기능을 갖고 있으며, ‘절대적인 완벽함’을 지시하는 것으로서 ‘신성’을 상징하며 ‘하늘의 빛’이 반사되어 퍼지는 것을 의미한다. 박현주의 빛은 분명, 형태로서 갖는 사각의 볼륨 속에 들어있는 물질성을 강조하면서도 밝은 빛 반사로 인해 환영적인 영상을 만들어낸다. 이 빛은 물질에서부터 이어지는 정신적인 ‘앎’을 상징하는 것이며, 작가의 사각과 그림자의 양면성이라고 하겠다. 그에게 있어서 빛과 명암은 어떤 의미를 가지고 있을까 ?
‘어둠에서 빛을 찾는다’는 작가의 지적처럼, 그의 화면에서의 어둠은 빛의 모태이며, ‘흰색은 비가시적인 세계로 들어가는 입구’(쟝 쉬발리에)라는 대조적인 의미의 축을 형성한다. 부연하면, 밝음은 비가시적인 것의 시작이며, 어둠은 역설적으로 가시성의 싹으로서 서로 연관된다. 때로는 이 사각의 볼륨을 형성하는 어둠은 섬세한 반영으로 둘러 쌓여진 덩어리이며, 그것은 빛을 거느리는 땅의 기능을 한다. 검은 색은 빛의 현란한 반사의 중심이기도 하다. 이는 단순한 시각적인 어둠만이 아니라, 풍요로운 ‘토양’이며, ‘씨를 받아내는 수용의 모태’이다. 그의 그림은 다른 한편, 어둠과 밝음이 실체의 덩어리와 환영이라는 또 다른 측면을 갖는다.
사각의 형태는 반사와 그림자의 변화의 기준이 된다. 그 기준은 움직이지 않는 물질적 중심이면서도, 암시적인 절대의 세계로 들어가는 문처럼 보이기도 한다. 어둠, 검은색은 Inner light 98-3 이나 Inner light 98-1 에서처럼, 형태의 핵으로서의 중심의 역할과 함께, 어두운 문으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빛으로 쌓여지고, 어둠으로 짜여진 작가의 빈 공간은 어둠의 먼 곳과 밝음의 비가시적 세계로서의 도래된 형상성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벤야민의 아우라, ‘먼 세계로부터 온 것이면서도, 가장 가까이 있는 유일한 출현’이라는 개념을 생각하게 한다. 이는 단일한 오브제가 사라지는 일종의 거리이기도 하다. 중세 미술의 ‘후광’이 사라지면서 아우라가 없어진다고 생각한 보들레르의 지적처럼, 그의 작품은 없어진 후광의 시대에 발견되는 아우라의 새로운 강조라고 볼 수 있다. 이것은 현재의 미술에서 사라졌던 ‘숭고’의 아름다움이며, 전시공간과 조명, 그리고 사각형 사이의 거리에서 만들어지는 신비하고 극적인 분위기라고 할 수 있다.
그것은 박현주의 형식적인 단일성이라는 것에서 사각이 갖는 ‘비인간동형적인 특성(Anti-anthropomorphism)’이라는 비재현적인 추상성에서 부터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다름 아닌, 사각이라는 상상의 실체 (Substance imageante)로서, ‘어떤 시각으로도 포착할 수 없는 현실성’(죠르지 디디-위베르만)을 잡아내는 노력이다. 사각이라는 형태의 일반적인 특성은 ‘특성 없는 특성’ (spécifique non-spécifique)이며, 이는 초월적인 추상성을 암시한다. 그의 빛과 그림자, 그리고 육면체는 ‘사각형’의 형상을 강조한다. 이 사각은 분명, 움직임과는 거리가 먼 안정적인 형태이다. 그러나, 작가는 이라한 부동성을 그림자와 빛의 운동과 겹침으로 해결하여, 종교적이기도 하면서 신비한 느낌을 자아낸다. 이것은 정지와 조용함을 갖으면서도, « 굳건함 »을 지닌 사각형이고, 완벽함 속에서의 안정이다. 작가의 사각은 땅과 하늘의 관계의 기준이기도 하며, 그것은 플라톤의 생각처럼, 그 자체로서 ‘절대적인 미’(쟝 쉬발리아, 알랭 기브랑트)의 추구라고 할 수 있다.

II.
이번 전시회의 박현주의 작품은 이 절대적인 미의 구현에라는 생각에서 과거 검은색과 밝은색, 황금과 색상, 그림자와 실제 덩어리라는 이원성이 남아있다. 그러나, 단순한 이원성이 아닌 이들은 투명함이나 다양한 색, 반사와 환영성의 강조로 나타나며, 이들은 서로 연관되면서도 자기 중첩의 관계에 놓여진다.

투명아크릴과 거울면 아크릴을 소재로 다루는 이번 전시의 일련의 작품들은 투명함과 반사 때문에, 사각의 화면 내에, 밖의 형태가 환영적으로 들어오고 있어서, 그 안과 밖이라는 경계가 약해지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이 때 투명함이란, 작품 ‘red sea’ 에서 처럼, 외부로부터 단절된 공간으로서 경계를 갖는 것이 아니라, 그 경계는 있으나, 서로 외부의 요소가 안으로 들어올 수 있게 함으로써, 연관성을 강조하는 것이며, 이는 ‘더 많은 것을 보려는’의도라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투명함은 불투명함과 항상 짝이 되어 제시된다. 볼 수 없는 것과 볼 수 있는 세계의 차이에서 구분되는 의식은 ‘시각’과 ‘지각’ 이라는 것과 연관되어, 사물의 물리성에 기초하는 것이다. 그러나 원래 이 ‘투명함’은 서양에서는 카톨릭적 세계관과 맞물려 지각과정으로서의 세계에 대한 은유로 이해된다. 자연이 잘 보여지기 위해서도 그리고 신을 잘 알기 위해서, 즉 신과 인간의 연관을 잘 주기 위해서, 세계는 투명하다는 생각을 갖게 된다. 그러다가 이 투명함은 신학 이론에 의해서, ‘비가시적인 세계’에 연결점으로 파악된다. 그 이후로, 가시적인 투명함은 역설적으로 ‘시각’이라는 영역 내에서 이해되지는 않게 된다. 이 이야기는 투명함이 보여주는 기능과 함께, 그것이 갖는 정신적인 기능에 대한 이해가 서로 상충하기 때문이고, 투명함은 가시적, 비가시적 이중적인 창구로서 이해될 수 있다. 특히 현대에서의 투명함은 이러한 물리적, 정신적, 환상적, 靈的인 것을 다 아우른다.

이러한 투명함은 바로, 이중적인 개념적인 정황을 갖는 이해로서 작가에게서도 이중적인 틀로서 이해된다. 이 형이상학적 이해는 다르게 보면, 색의 다양성에서 복합적으로 재현된다. 색은 사실 투명함과 불투명함의 또 다른 개념 쌍이다. 이것은 사물을 인식하는 ‘또 다른 축으로서의 명명법’과 같은 것으로 보여진다. 분명 그녀의 색은 노란색, 파란색, 보라색 등 다양하게 시각적인 기능으로서 빛 반사의 운동에 기초하면서도, 실제 다른 대상을 지시하는 추상성을 가지고 있다. 즉 대상 지시적이지 않는 추상성이 아니라, 대상을 지시하는 추상성으로 존재를 함축한다는 것이다.
노란색은 ‘빛의 근원’, ‘태양’으로서, 파란색은 ‘하늘과 천계’로서, ‘회색’은 생각과 사유의 색으로서 확대해볼 수 있지 않을까 ? 이러한 확대된 색의 상징성이 있다고 하더라도, 분명한 것은 작가에게서는 우선 ‘시각적’(optical)인 층위가 존재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시각성은 거울에서 더욱 극대화된다. 거울은 앞서 지적했듯이, 분명 대상과 빛을 복수화시켜, 물리적인 세계를 확장하거나 뛰어넘게하는 기능을 가진다. 이 점은 물리적이면서도 형이상학적인 기능을 하는데, 플라톤에게서는 ‘영혼이 거울’에 비유된다. 플라톤에 있어서, 거울은 영상을 반사하는 면만이 있는 것이 아니라, 동시에 영혼이 거울이 되는 면, 즉 영혼이 이미지에 관여하는 ‘일종의 변형’이라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변형은 ‘靈’이 마침내 ‘아름다움’에 다가가는 것이며, 박현주의 작업에서 보여지는 사각형은 닫혀진 형태가 아니라, 빛과 그림자에 의해서, 개방되듯이 경계가 열려지는 것이다.
끝으로 거울에 대한 이야기를 하자. 원래 거울(supeculum, mirror)은 하늘과 별의 운동을 관찰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으며, 그래서 스펙쿨룸이라 불린다. 그 별(sidus)들은 거울에 의해서, 관찰되고 고려(consideration)되며, 여기에는 ‘별들의 무리’를 관찰한다는 ‘consideration, cum-sideratio’라는 의미가 있다. 여기서, 거울을 통해서 먼 곳, 또 다른 세계를 지향하는 의미를 찾아 낼 수 있으며, 작가 박현주는 사각과 그림자, 존재와 잔영의 별들을 빛의 사유를 통해서, ‘함께 보려고’(consideration) 노력하고 있다.
 
Light And Square

TAISUNG KANG
Ph. D. in Science of Arts, Art Critic

 
I.

Hyunjoo Park shows ‘play of light and color’s, painting the sense of rhythm in light and shapes and at the same time reflecting dimly a rectangular plane full of colors, through repeating cubes in a white space. The golden color is not so strong that it doesn’t reveal itself too much or directly. This light displays a shadow of a refracted square in the plane space. The Complexity of repeated light and shadows seems to show a slice of passing time, although the square is not moving. In this phase, the combination of light and colors produces more dual realtionships in relation with space, through overlapping or counterbalancing. This complication and nuance makes her artworks interpreted not in the minimalistic ‘unmetaphorical’ structure, but in the new structure of meanings as enormous symbols.

The structure of metaphores and symbols also appears in the artist’s delicate technique of gilding. Thanks to the technique like an craftsman, the shapes as a virtual image like golden waves or pleats enable us to do metaphysical imaginations. Especially, this gold, with the colorful facet on the squares, through using self-reflection while being displayed as a mass, is connected to symbols and meanings of features in religious paintings using golden color in Byzantine Art, Western Europe, and Buddhism. It is a light shining brightly functioning metaphysical illumination, symbolizing ‘deity’as an indication of ‘absolute perfection’, and meaning ‘light of the sky’ refelcting widely. Hyunjoo Park’s light is making a fantastic image through the reflection of bright light, while, obviously, emphasizing materials in the volume of a square as a form. This light symbolizes mental ‘knowing’ connected from material, and is both sides of the artist’s squares and shadows. That is to say, what do light and shade mean to her?

As the artist pointed out in ‘searching for light in the darkness’, it forms an axis of a contrasted meaning that the darkness in the canvas is the mother’s womb of light, and ‘white is an entrance to the invisible world (Jean Chevalier)’. Additionally, lightness is a beginning of invisibility and darkness is interrelated, ironcally, as a bud of visibility. The darkness constituting this retagular volume is a mass surrounded by delicate reflections, and funtions earth ruling over light. Black is also a center of dizzy reflections of light. It is not just the darkness in visibility, but also rich ‘soil’ and the ‘womb of reception containing seeds’. On the other hand, darkness and lightness in her works shows another aspect, a mass of substance and phantom. In the works of this exhibition we can notice that a shade of light invades into a cube, and the light expands more into the shape.

The form of square is a criteria in change of reflections and shades. The criteria is a solid physical center, and in the meantime, it looks like a door to a suggestive world of absoluteness. While Darkness, black, as in the works ‘Inner light 98-3’ or ‘Inner light 98-1’, seems to balance, it functions a core of the shape and as a dark door.

The artist’s empty space of light accumulated and darkness weaved is featuring the advent of a distant place of darkness and a visible world of lightness. In this aspect, it reminds me of Benjamin’s definition of aura ‘the one and only nearest appearance coming from a distant world’. It is also a kind of distance that a single objet disappears. Like Baudelaire’s indication that as ‘halos’ in the medieval times disappear, auras would fade, her works are a new emphasis on aura discovered in the times of vanished halos. This can be said that the beauty of ‘lofty’, and mystical and dramatic surrouondings made in the distance between exhibition space, lights, and squares.

It is caused by unreviving abstractism, ‘anti-anthropomorphism’ which squares expresses in her formal singularity. This is an effort to catch ‘the reality which cannot be grasped from any angle (Georges Didi-Huberman)’ by substance imageante, squares. A general characteristic of squares is ‘spécifique non-spécifique’, which implies transcendental abstractism. Her light, shades and cubes stress the shape of a square. This square is clearly a stable form, far from movement. But this immobility arouses religious and mystical atmosphere when the artist overlapped it with movement of shades and light. It is a square with reliability as well as pause and serenity and stability within perfection. The artist’s square is also a criteria of heaven and earth, which itself is, like Plato’s thoughts, a pursuit of ‘the abslute beauty (Jean Chevalier, Alain Gheerbrant)’.

II.

There still remain dualism of the past, black and bright color, gold and colors, and shades and real materials in Hyunjoo Park’s works of this exhibition. But these, not a simple dualism, appear in the process of the emphasis of transparency and a variety of colors, and reflections and phantoms, and besides, the elements, such as a stronger touch of brush than in the past, of dualism are interrelated and self-overlapped.

In the series of works of this exhibition, using transparent acryl and mirror phased acryl, due to transparency and reflection, the shapes of outside get into the rectangular canvas visionally so that the boundary of inside and outside is getting weaker. At this, as in the work, ‘Red Sea’, the transparency does not bordered as an alienated space from the outside, but it has a border over which elements from the outside can get into the inside, stressing the relationship, which is an attempt ‘to see more’. Generally transparency is presented paired with opacity. The consciousness divided in the difference of the worlds of visibility and invisibility, related to ‘visuality’ and ‘perception’, is based on the physical properties of objects. However, this ‘transparency’ is understood as a metaphor to the world as a process of preception, engaged in the world view of Catholic in the West. To show the nature more and to know God more, that is to say, to connect God and humans more, the world is thought to be transparent. Meanwhile, this transparency is graspped as a connecting point to a ‘invisible world’ by a theological theory. Since then, visible transparency ironnically has not been understood within the domain of ‘visuality’. This expains the contradition of functions of showing and psychological function, and transparency is interpreted as a visible and invisible dual window. Especially, transparency in modern age, put together physics, pschology, fantasy, and spirituality.

This transparency, with its dual conception, is also comprehended as a dual frame to the artist. From a different view, this metaphysical understanding is revived complexly in the diversity of colors. Color is actually another conceptional pair of transparency and opacity. It seems like ‘another axis of naming’ to perceive an object. Certainly, her colors are based on the movement of light reflection as a visual function diversely, such as yellow, blue, and purple, and at the same time they actually have abstractism to indicate a different object. That is to say, it is not a nonobject-indicating abstractism, but implies existence as an object-indicating abstractism

Can’t they be expanded like yellow as an ‘origin of light’ or the ‘sun’, blue as ‘heaven and sky’, gray as a color of thinking and speculation? Despite of this expanded symbols of colors, what matters is that there exists, above all, an optical stratum to the artist.

This optical properties are maximized in the mirror. As pointed before, the mirror multiplies objects and light, and extends the physical world or leaps over it. This functions physically and metaphysically. Plato likened spirit to morror. To Plato, mirror not only reflects images, but also has an aspect of spirit becoming mirror, so to speak, ‘a kind of transformation’ of spirit engaging in images. This transformation means that spirit finally reaches to the ‘beauty’, and squares in Hyunjoo Park’s works are not closed, but opened just like released by light and shade.

Finally, I’ll tell you about a mirror. Originally a mirror or a supeculum was used in observing the movement of the sky and stars. That’s why it is called a supeculum. The sidus are observed and considered by the mirror, which means consideration, or cum-sideratio, of a crowd of stars. Here, through the mirror we can find out the meanings to head for distant places or another world, while the artist, Hyunjoo Park, is trying to consider together squares and shades, and stars of existence and traces.